Skip to content

[학습] elastic search 설치 및 환경설정

KyungHoYoon edited this page Nov 13, 2019 · 3 revisions

elastic search 환경구축

elastic search os별 제약사항 & 설치 관련

참고자료 : https://tecadmin.net/setup-elasticsearch-on-ubuntu/

  • JAVA 11 이상이 설치된 os에서 동작할 수 있음
  • os의 커널 변수 설정으로 부팅시에 자동적으로 elastic search 수행 가능
  • elastic search 킬때는 batch/shell script 수행해줘야함.
  • 환경변수 파일로 network 대역 설정해 줘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함.
  • 권한 설정을 위해 환경변수 파일에 cluster와 node에 대한 정보를 명시해야함.

mysql, elastic search의 json text 파일간의 동기화

참고자료 : https://americanopeople.tistory.com/274

trade off 필요함.

  • sync
    • db에 crud작업시 실시간으로 json 파일을 갱신시킴
    • 많은양의 데이터 처리시에 속도저하 issue
  • async
    • 배치 파일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json 파일 갱신 수행
    • 최신버전으로 데이터 갱신되지 않는 issue

json 데이터 저장

참고자료 : http://kimjmin.net/2015/04/using-es/

  • AWS s3처럼 object storage 이용하여 관리하는게 보편적인 방법임
    • rdb와 elastic search 연동시에 db의 테이블 정보를 json text로 받아온 뒤 logstash 로 집어넣음
    • json 파일 저장장소는 aws s3와 같은 object storage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임.
Clone this wiki locall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