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rom b1c24322deaa33819a50e0a2c25044199bf20ec9 Mon Sep 17 00:00:00 2001 From: seoyeonjiin Date: Thu, 4 Jul 2024 19:19:47 +0900 Subject: [PATCH 1/2] =?UTF-8?q?[4=EC=A3=BC=EC=B0=A8]=207=EC=9E=A5=20-=20?= =?UTF-8?q?=EC=BA=90=EC=8B=9C=20(=EC=A7=88=EB=AC=B8)?= MIME-Version: 1.0 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 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 --- .../yeonjin.md" | 15 +++++++++++++++ 1 file changed, 15 insertions(+) create mode 100644 "7\354\236\245-\354\272\220\354\213\234/yeonjin.md" diff --git "a/7\354\236\245-\354\272\220\354\213\234/yeonjin.md" "b/7\354\236\245-\354\272\220\354\213\234/yeonjin.md"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..b1f6087 --- /dev/null +++ "b/7\354\236\245-\354\272\220\354\213\234/yeonjin.md" @@ -0,0 +1,15 @@ +## 7장 - 캐시 + +### 캐시는 어디에 존재? (캐시의 종류?) + +클라이언트 측 캐시: 브라우저 캐시, 서비스 워커 캐시 + +네트워크 경로 상의 캐시: 프록시 서버 캐시, CDN 캐시 + +서버 측 캐시: 리버스 프록시 캐시, 애플리케이션 캐시 + +데이터베이스 캐시: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메모리 내 + +### Must-Revalidate 응답 헤더를 사용하면 동작 시간만 늘어나는 것 아닌가? 사용하는 것의 이점이 무엇이지? + +대부분의 경우 서버는 304 Not Modified 응답을 통해 빠르게 리소스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알림. 전체 리소스를 다시 다운로드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며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음. From 6d062b3fa471356b466e8f075354d53fe5983225 Mon Sep 17 00:00:00 2001 From: seoyeonjiin Date: Thu, 4 Jul 2024 19:21:13 +0900 Subject: [PATCH 2/2] =?UTF-8?q?[4=EC=A3=BC=EC=B0=A8]=208=EC=9E=A5=20-=20?= =?UTF-8?q?=ED=86=B5=ED=95=A9=EC=A0=90:=20=EA=B2=8C=EC=9D=B4=ED=8A=B8?= =?UTF-8?q?=EC=9B=A8=EC=9D=B4,=20=ED=84=B0=EB=84=90,=20=EB=A6=B4=EB=A0=88?= =?UTF-8?q?=EC=9D=B4?= MIME-Version: 1.0 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 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 --- .../yeonjin.md" | 19 +++++++++++++++++++ 1 file changed, 19 insertions(+) create mode 100644 "8\354\236\245-\355\206\265\355\225\251\354\240\220: \352\262\214\354\235\264\355\212\270\354\233\250\354\235\264, \355\204\260\353\204\220, \353\246\264\353\240\210\354\235\264/yeonjin.md" diff --git "a/8\354\236\245-\355\206\265\355\225\251\354\240\220: \352\262\214\354\235\264\355\212\270\354\233\250\354\235\264, \355\204\260\353\204\220, \353\246\264\353\240\210\354\235\264/yeonjin.md" "b/8\354\236\245-\355\206\265\355\225\251\354\240\220: \352\262\214\354\235\264\355\212\270\354\233\250\354\235\264, \355\204\260\353\204\220, \353\246\264\353\240\210\354\235\264/yeonjin.md"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..fe6e758 --- /dev/null +++ "b/8\354\236\245-\355\206\265\355\225\251\354\240\220: \352\262\214\354\235\264\355\212\270\354\233\250\354\235\264, \355\204\260\353\204\220, \353\246\264\353\240\210\354\235\264/yeonjin.md" @@ -0,0 +1,19 @@ +## 통합점: 게이트웨이, 터널, 릴레이 + +### 일반적인 게이트웨이 개념? (차이점) + +네트워크 게이트웨이 -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주로 네트워크 통신에서 사용되는 용어로, 로컬 네트워크(예: LAN)와 외부 네트워크(예: 인터넷) 사이에서 트래픽을 중계하는 장치나 노드를 의미 + +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 -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사용되는 용어로, 클라이언트와 백엔드 서버 사이에서 트래픽을 중계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의미 + +### HTTP/HTTPS 게이트웨이? 리다이렉트와 유사한 것인가? + +기능과 목적에 차이있음. + +HTTP/HTTPS 리다이렉트 → HTTP를 HTTPS로 강제하여 보안 및 SEO 향상 + +HTTP/HTTPS 게이트웨이 → 트래픽 관리, 보안 강화, 로드 밸런싱, 캐싱 등. + +### SSL 터널 → HTTP 커넥션으로 전송한다면 그 안의 프로토콜도 TCP위에서 동작해야 하나? + +SSL 터널링을 사용하여 HTTP를 통해 다른 프로토콜을 전송할 때, 그 위의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TC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어야 함. SSL/TLS 터널링은 TCP 연결을 설정하고 이후 SSL/TLS 핸드셰이크를 통해 보안 연결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동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