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|
지난주 진도 중에 @ModelAttribute 부터 보면 Hello Data 객체를 생성하고 이 객체에 정보를 담아서 가져오던데 그러면 Hello Data가 DTO와 같은 역할을 하는거라고 볼 수 있을까요? |
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? Give feedback.
Answered by
YuDeokRin
Jul 4, 2024
Replies: 1 comment
-
|
@ModelAttribute의 주요 목적은 요청 파라미터를 메서드의 파라미터나 모델 객체에 바인딩하는 것이고 DTO는 주로 계층 간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객체? . 이는 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, 서비스와 컨트롤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것이라서 서로 둘이 좀 다른거 같습니다. |
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? Give feedback.
0 replies
Answer selected by
chaelink
Sign up for free
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.
Already have an account?
Sign in to comment
@ModelAttribute의 주요 목적은 요청 파라미터를 메서드의 파라미터나 모델 객체에 바인딩하는 것이고
DTO는 주로 계층 간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객체? . 이는 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, 서비스와 컨트롤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것이라서
서로 둘이 좀 다른거 같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