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Discussion options

You must be logged in to vote

디자인 패턴은 정말 많습니다.

대략적으로 정보처리기사 나오는 정도로 말하자면

크게 생성패턴, 구조 패턴, 행위 패턴이 있습니다.

  • 생성(Creational) 패턴

    • 싱글톤(Singleton): 인스턴스가 하나만 생성되도록 보장하는 패턴.
    • 팩토리(Factory): 객체 생성을 캡슐화하여 객체 생성을 추상화하는 패턴.
    • 추상 팩토리(Abstract Factory): 여러 관련 객체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패턴.
  • 구조(Structural) 패턴

    • 어댑터(Adapter): 인터페이스 호환성이 없는 클래스들을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패턴.
    • 데코레이터(Decorator): 객체에 추가적인 기능을 동적으로 부여하는 패턴.
    • 컴퍼지트(Composite): 객체들을 트리 구조로 구성하여 계층 구조를 표현하는 패턴.
  • 행위(Behavioral) 패턴

    • 옵저버(Observer): 객체 간의 일대다 의존성을 정의하여 한 객체의 상태 변화에 따라 다른 객체들에게 알림을 전달하는 패턴.
    • 스트래티지(Strategy):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여러 알고리즘을 정의하고 캡슐화하여 교체 가능하게 만드는 패턴.
    • 커맨드(Command): 요청을 객체로 캡슐화하여 매개 변수화하고, 요청을 큐에 저장하거나 로깅하고 취소 가능하도록 하는 패턴.

이런 것들은 따로 공부를 해야할 정도로 양이 엄청 많습니다. ㅎㅎ

디자인 패턴 공부에서 제가 추…

Replies: 2 comments

Comment options

You must be logged in to vote
0 replies
Comment options

You must be logged in to vote
0 replies
Answer selected by 6om1n
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. Already have an account? Sign in to comment
Labels
3 participants